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useRef 지역 변수
- 모던 자바스크립트 TIL
- 백준 js
- 개발자 특강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리팩토링 회고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TIL
- KDT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프론트엔드
- 우테캠 회고록
- 투포인터알고리즘 js
- K_Digital Training
- Frontend Roadmap
- 머쓱이
- react 프로젝트 리팩토링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프론트엔드
- 프로그래머스 K_Digital Training 프론트엔드
- 백준 node.js
- 모던 javascript Deep Dive
- react customHook 예시
- Vue3
- TypeScript 문법 소개
- KDT 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frontend roadmap study
- 프로그래머스 K_Digital Training
- 인프런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 Vue3 Router
- useEffect return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프론트엔드 TIL
- Today
- Total
목록KDT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프론트엔드 (50)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기록 공간
❗❗ 데브코스 8일차 (08.11) 오늘은 마지막 학기 수강신청 날이여서 일찍일어났다. 수강신청하고 다시 잘려고했지만, 잔여백신 성공하는 바람에 바로 가서 화이자를 맞고왔다. 화이자 맞은 주변 친구들에 의하면 엄청 피곤하다고 했다. 수강신청 + 백신 여파땜에 하루를 쉬고 싶었지만 프로그래머스 강의와 과제가 수없이 많기 때문에 정신력으로 버텼다... 오늘까지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관해 학습했다. 내부 동작원리부터 여러가지 개념을 학습하다보니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가기엔 너무 시간이 오래걸릴거 같고, 비효율적이라 생각이 들어서 어느정도 이해가 됐으면 넘어가고 과제를 통해 직접 쓰면서 익힐 예정으로 학습을 진행했다. ✅ 정보 간단히 객체지향프로그래밍 vs 함수형프로그래밍에 대한 설명을 하..
❗❗ 데브코스 7일차 (08.10) 오늘은 처음으로 카페에서 7일차를 진행했다. 집에서만 하기엔 너무 갑갑하기에 가끔 카페를 이용할 예정이다. 오늘은 특강이나 정보전달이 없기에 팀 스크럼만 진행됐다. 어제 팀 코드 리뷰에 대해 의견이 있어서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이에 대해 회의가 이루어졌다. 우리팀의 과제 코드리뷰 방식은 다음과 같이 정했다. 과제 수행 시 주석은 최대한 없애기 코드리뷰시 상대방의 코드분석 향상을 위해 개발자의 클린코드 역량을 위해 각자 3명씩 담당하여 코드리뷰 해주기 사소한 것이라도 코드리뷰해주기 주석 대신 PR 작성시 코드 설명적기 위와 같이 진행된다면 자소서에 작성했던 것처럼 여러명의 코드를 보면서 다양한 로직에 대한 이해와 클린코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기대가 된다. 팀 스크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8qYP/btrbwicVaH3/vr12bJZJzuwz77A5PbsZa1/img.png)
❗❗ 데브코스 6일차 (08.09) 2주차가 시작됐다. 월요일의 시작으로 오픈 미팅이 시작했다. 한 주간의 일정과 과제에 대해 설명해주셨다. 이후, 스터디는 왜 할까? 노션 사용법에 대한 특강이 진행되었다. 특강에 대해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스터디는 왜 할까? 다른 사람들 보면서 동기부여 서로간의 피드백 가능 궁금한 것이 있을시 물어볼 창구가 생김 의견 공유 가능 각종 스킬을 향상(전문지식, 발표능력, 글쓰기 능력, 피드백 능력, 남의 코드나 글을 읽는 능력 등등) 혼자 공부하는 것과 가장 큰 차이는 다른 사람의 의견, 생각을 나누고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스터디는 단순 지식 공유가 아니다.! 현업 개발자들도 꾸준히 하고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터디는 꾸준히 참여하는 것이 좋다! 스터디 하는 법..
❗❗ 데브코스 5일차 (08.06) 오늘은 다행히도 강의가 없었다.! 수강생들이 아직 적응하고 학습하는데 힘들어 보이신다고 일정을 조율해주셨다. 그래서 알고리즘 문제풀이 영상으로 대체했다. (하지만 안보고 주말에 풀어보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그리고 팀원들과 각자 주제를 가지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확실히 남들에게 설명을 해야 기억에 남고 온전히 "내 것"이 되는 것 같다. 다른 팀원분들의 발표를 보면서 몰랐던 부분도 많이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그리고 드디어 첫번째 과제를 수행했다. 과제에 대해서는 비공개라 공개를 못하지만 학습했던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기능을 추가하는 과제였다. 과제하면서 느낀점은 확실히 아직까지 알고리즘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간단한 것도 너무 오래 걸렸다.... 갈..
❗❗ 데브코스 4일차 (08.05) 어제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고 팀원분들이 잘 이해가 안된다하셔서 해당 문제풀이를 해줬다. 그러다보니 벌써 시간은 4시...? 부랴부랴 남은 알고리즘 강의를 들었다. 문제는 풀 시간이 없어서 나중에... 그리고 저녁에 팀원들과 우리팀의 멘토님인 성기동 멘토님과 커피챗 타임을 가졌다! (멘토님 허락하에 업로드 합니다!) 자유롭게 얘기하다가 어느순간 멘토님을 면접하는것 처럼 질문이 쏟아졌다! (그만큼 궁금한게 많은 초보개발자들 입니다 ㅠ) 성기동 멘토님은 유명한 개발 연합동아리 중 하나인 D&D 운영진에 속해서 활동중이셔서 그런지 멘티들에게 무한한 애정을 가지시는것 같다. 후배 양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셔서 이번 데브코스 멘토로도 참가하시고 계십니다. 수강생들만 진행하는..
❗❗ 데브코스 3일차 (08.04) 1,2일차 오전에는 헬스장을 갔지만 오늘은 가질 못했다... TIL을 너무 신경쓰다보니깐 밤 늦게까지 정리하기 바빴다. 그래서 작성하는 지금(밀려쓰는 중..)은 생각을 고쳤다. 매니저님께서도 TIL은 일기처럼 간단히 작성하고 학습한 내용중 조금 깊게 다루고 싶은 내용을 따로 빼서 정리하라고 하셨다. 2주차 부터는 그렇게 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3일차때는 자료구조를 다뤘다. 기본 자료구조는 알고 있어서 학습은 비교적 편했지만 중간중간 알고리즘 문제 푸는 것이 조금 힘들었다. 결국 그래프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채 내일로 미루었다...(시간초과가 왜 날까ㅠ....) ✅ 정보 JS는 기본적으로 Queue 자료구조가 없다. Stack의 경우 push, pop을 이용하..